
운용의 용이성2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의 개념 초당 3~ 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함 대상: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는 콘텐츠 유의점: 광과민성 발작 일으킬 수 있음 대안: 사전에 경고, 제작하지 않게 해야함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의 필요성 어린이 또는 광과민성 발작 증세가 있는 사용자를 위함 깜빡임이 3초 이하인 경우 문제가 되지 않음 반복 영역 건너뛰기 제공의 이해 콘텐츠의 반복되는 영역은 건너 뛸 수 있어야 함 반복 영역 건너뛰기 제공의 필요성 시각 및 상지 장애인들이 마우스 사용자와 같이 원하는 콘텐츠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함 대메뉴와 같이 반복되는 영역이 있는 경우 바로 건너 뛸 수 있도록 건너뛰기 링크를 제공해야 하며, 반복되는 영역이 아..

운용의 용이성1 입력장치 접근성, 충분한 시간 제공, 광과민성 발작 예방, 쉬운 내비게이션 입력장치 접근성 콘텐츠는 키보드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 입력 및 컨트롤은 조작가능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충분한 시간 제공 콘텐츠를 읽고 사용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광과민성 발작 예방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콘텐츠는 쉽게 내비..

인식의 용의성2 검사항목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콘텐츠 명도 대비 자동 재생 금지 콘텐츠 간의 구분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의 개념: 정보를 구분하는 구별점을 색상으로만 하지 않고, 색을 배제하더라도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의 필요성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의 목적: 시력이 약한 사용자에게 색상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의 검사항목 해설 도식 유형에 적용하던 검사항목 -> 색상만 구분해 정보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페이지 네비게이션 -> 색상만 구분해 정보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명도 차에 대한 생삭 구분은 따로 두지 않음 색에 무관한 콘텐츠 제공방법 색을 배제하여도 해당 콘텐츠를..

인식의 용의성 대체 텍스트 대체 텍스트의 개념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들 즉, 이미지, 이모티콘 문자, 영상, 음성 콘텐츠 등에 대하여 이를 텍스트 정보로 대체해주는것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를 대체하여 제공하는 텍스트 정보 대체 텍스트의 필요성 대체 텍스트의 목적 검사항목1(대체 텍스트): 시각장애인에게 중요한 지표. 소리로 모든 내용을 이해하는 시각장애인에게 텍스트 정보가 음성으로 변환이 가능. 대체 텍스트의 필요성 음성으로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로 제공 이미지가 제공되지 못하는 환경에서 대체 텍스트를 화면에 제시 검색엔진에서 이미지를 검색할 떄, 대체 텍스트를 검색포털에서 보여질 수 있는 조건으로 제시 대체 텍스트의 검사항목 해설 대체 텍스트 제공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를 이용할 경우, 해당 이미지가 제공하는..

장애인과 인터넷 이용환경 웹 접근성 의무적용 대상 장애인이 장애인이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접근, 누구든지 신체적, 기술적 여건과 관계없이 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보장한다. 인터넷은 이동이 불편하거나 소통이 어려운 장애인 사용자에게는 웹 접근성을 높여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됨 우리 주변에 장애인은 7가구당 1명씩 있고 후천성 장애인은 90%에 달한다. 장애인 차별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웹 접근성에 해당하는 전자정보를 동등한 수준으로 제공해야 함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모든 생활 역역에서 장애를 이유로 차별을 금지하고, 장애를 이유로 차별 받은 사람의 권익을 효과적으로 구제하기 위해 제정함. 정당한 편의의 내용, 행위자에 대한 단계적 범위, 불이..

웹 접근성이란? 웹 접근성의 정의 : 웹 콘텐츠라는 대상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웹 접근성의 중요성 누구나, 어떠한 기술 환경에 구애받지 않는것.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 웹 접근성의 범위 좁은 의미로는 장애인 접근성을 말합니다. 넓은 의미로는 비 장애인에 대한 환경과 다양한 기술환경까지 고려한 모든 사용자 환경과 모든 기술 환경을 포함합니다. 액티브X 사용은 권장되지 않지만 다양한 장애유형별 사용자가 이런 대체수단을 통해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다면 웹 접근성을 준수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웹 표준 월드 와이드 웹의 측변을 서술하고 정의하는 공식표준이나 다른 기술 규격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 웹 호환성 전자정부 서비스 등의 웹 사이트를 국내외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