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화도법(Affinity Diagramming) 친화도법은 이러한 결과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시각화 하여 이후 데이터에 기반을 둔 UI/UX 관련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해법이 되어 주는 기법이다. 친화도법은 사용자리서치의 결과로 얻어진 정량적 데이터를 작은 덩어리로 만들고 그 덩어리들을 특정 주제나 문제와 관련된 분류와 해당 분류의 하위분류로 구분하는 귀납적 방법이다. 이러한 분류는 사용자리서치 및 UI/UX와 관련한 업무를 수행하는 관계자들이 한 장소에 모여서 사용자리서치의 결과 데이터를 세분한 덩어리의 내용의 특성을 문장으로 적은 카드(점착식 메모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를 주제, 문제에 따라 분류하는 워크숍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품/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사용자리서치의 결..

사용자 리서치 수행 기법 목표한 사용자리서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여러 기법이 혼용되기도 하며, 사용자리서치를 수행한 조직과 제품/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고유의 기법을 개발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리서치의 진행에 따라 계획한 기법 외에 보다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법을 적용하면서 계획을 수정해 진행하거나, 이를 반영하여 반복/점진적 프로세스에 따라 추가적인 사용자 리서치를 수행하기도 한다. 이해관계자 인터뷰 (Stakeholder) 프로젝트와 관련된 내부 이해관계자를 뜻합니다. 프로젝트 매니저, 개발자, 디자이너, 마케터, 기획자, 퍼블리셔, 의사 결정자와 관련된 업무를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인터뷰에는 세부 기능보다는 타겟 유저가 누구인지, 문제점이 무엇인지, 목표가 무엇인지 등 방..

사용자 리서치 사용자리서치는 사용자와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식별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갖는 정보를 조사하는 활동이다 데스크(Desk)리서치와 필드리서치 일반적으로 데스크리서치는 실제 필드리서치 수행에 앞서 관련 문헌을 연구하거나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서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UI/UX와 관련한 경우에 실제 사용자와의 접촉 없이 디자이너 개인 또는 내부 구성원 차원에서 수행되는 데스크리서치(Desk Research)와 실제 환경(필드)에서 사용자의 맥락을 함께 조사하는 필드리서치로 구분된다. 태스크중심 필드리서치 UX와 관련한 대부분의 필드리서치는 태스크중심 필드리서치에 해당하며, 사용자에게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태스크를 부여하여 사용자를 관찰하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