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나라/웹 접근성의 이해(기본)
웹 접근성-심화2
푸름 윤
2019. 12. 9. 14:39

웹접근성의 이해-심화
화면 낭독기의 이해 및 사용법
- 화면낭독기, 스크린리더와 같은 명칭의 프로그램은 윈도우 컨트롤, 응용프로그램, 웹에 제공된 정보를 시각장애인이 귀로 들을 수 있도록 음성으로 전환
- 스크린리더는 웹페이지에 없는 정보를 스스로 판단해서 음성으로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웹 개발자에 의해 제공된 정보만 음성 정보로 제공
- 가상커서는 스크린리더에서 인터넷 브라우저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으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가상의 UI
- 스크린리더는 제품마다 최신기술 지원 여부와 동작방식에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2개 정도의 제품으로 중복테스트를 하는것을 권장
센스리더 설치와 활용
센스리더 활용
- 센스리더에서 이미지 요소에 alt 속성으로 대체텍스트르 제공하지 않은 경우 이미지 경로를 단어 또는 자음, 몽므 조합으로 음성을 출력
- 이미지가 구조적인 정보를 담고 있거나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단순한 단어나 짧은 문장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 longdesc속성을 사용
- target="_black"속성을 사용하여 링크를 새 창으로 열리게 할 경우 "새 창 링크"로 음성을 출력
- lavel요소를 암묵적으로 제공한 경우 센스리더에서 정상적으로 음성으로 출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니 가급적이면 명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
- 내용이 없는 프레임의 경우 간혹 title="빈프레임"으로 제목을 제공하는 경우에 '빈 프레임 프레임' 과 같이 "프레임"을 두번 음성을 출력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용없음" 정도의 수준이 적절
- 목록 요소를 사용 할 경우 ul 등의 목록 요소 시작을 불필요하게 사용하지 않아야 사용자 쉽게 인지 할 수 있음
- 데이터 테이블에 제목셀과 내용 셀을 짝지어 주는 방식으로는 복잡한 표의 경우 headers, id 속성 제공, 간단한 표의 경우 th 용소와 scope 속성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음